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총정리(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서 파일첨부) "딩크족"이라고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 딩크족이란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영위하면서도 의도적으로 자녀를 두지 않는 맞벌이 부부로, 'double income no kids'의 약칭입니다. 이들은 정상적으로 부부생활을 하면서도 아이를 가지지 않아 육아에 대한 부담 없이 부부만의 생활을 즐기며 풍족하게 살아가려는 사람들로 현 사회에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자연스레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 정부에서는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정부대책 중하나인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란? 만8세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는데, 이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라 합니.. 2023. 1. 3.
2023년 달라지는 것들 총정리 (feat. 바뀌는 제도) 2023년 계묘년 새해를 맞아 달라지는 것들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사회,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과 제도가 일부 개정되거나 개선되었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인상, 2023년 군인월급 인상, 2023년 부모급여 인상, 6월부터 만 나이 통일, 우회전 신호등, 고교 학점제 도입등 2023년에 달라지는 것들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저시급 인상 2023년 최저시급은 작년보다 5%(460원) 인상되어 9,620원이 적용됩니다. 주 40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2023년 최저임금은 2,010,580원인데요. 사상 처음으로 기본급 200만원을 넘게 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은 업종별 상관없이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023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세후 월급 실수령액까지.. 2023. 1. 2.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제도 총정리(+워라밸 일자리 장려금) 임신은 큰 축복이기도 하지만, 임신을 한 워킹맘들이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로 인해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 워킹맘 임산부를 위한 제도 중의 하나인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신청대상과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은 몇 시간까지 되는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급여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제도 임신 기간별로 근로시간 단축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1. 임신 12주 이내, 36주 이후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사업주는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가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2022. 12. 30.
근로시간 단축제도=워라밸 일자리 장려금(feat.한눈에보는 요약정리) 일과 여가의 균형을 추구하는 워라밸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라는 줄임말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데 업무 강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힘든 문화였습니다. 하지만 점차 변화하여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통해 제도적으로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에 맞게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제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가족 돌봄, 본인건강, 은퇴준비, 학업, 자율형의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시간 단축 제도란? 근로시간 단축 제도란 전일제 근로자가 필요한 때에 소정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국민의 다양한 일자리 수요를 충족시키고 일과 삶의 조화에 기여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근로시간 단축 .. 2022. 12. 29.
2023년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우리나라에서는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자체 설정한 유효기간 내에서만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진국들은 생산자 중심보다 소비자 중심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민 보건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국내에서도 식약처 주관하에 2023년부터는 모든 식품에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을 표시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기존 표기 방식이었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식품을 유통·판매하는 영업자가 소비자에게 해당 식품을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최대의 기한.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하여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으로 최종 소비자.. 2022. 12. 27.
2023년 최저시급 & 세후 월급 실수령액 (feat. 최저임금 총정리) 2023년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내년 최저시급과 최저임금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2년 올해 최저시급은 9160원으로 월급으로 계산 시 1,914,440원입니다. 이는 지난해 대비 5% 인상된 금액으로 세후 월급 실수령액은 1,728,440원입니다. 그렇다면 2023년 최저시급과 최저임금, 세후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 개념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 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헌법 제32조 제1항에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87.10월) 최저임금제도 목적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에 대하여..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