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신&육아18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제도 총정리(+워라밸 일자리 장려금) 임신은 큰 축복이기도 하지만, 임신을 한 워킹맘들이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로 인해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 워킹맘 임산부를 위한 제도 중의 하나인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신청대상과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은 몇 시간까지 되는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급여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제도 임신 기간별로 근로시간 단축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1. 임신 12주 이내, 36주 이후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사업주는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가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2022. 12. 30. 출생신고 준비물 및 신고방법, 신고기간 초과 과태료 아이를 낳게 되면 반드시 해야 하는 것 중 하나가 출생신고입니다. 제때 하지 않게 되면 과태료를 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출생신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생신고란?? 출생 사실을 사실그대로 신고하는 것을 뜻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살기 위해서 반드시 신고가 필요한 절차입니다. [혼인 중에 태어난 경우] - 부(父) 또는 모(母)가 신고할 수 있습니다. [혼인 외의 관계로 태어난 경우] - 모(母)가 신고 해야 합니다. 부(父)는 신고의무가 없으나 부가 신고한 경우 법률상의 친자관계 효력을 갖습니다. [부모가 없는 경우] - 동거하는 친족, 분만에 관여한 의사·조산사 및 기타 사람의 순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출생신고는 아이가 태어나고 30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30일 초과 시 기간에 따라 높.. 2022. 10. 4.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방법, 급여 총 정리 지난 2022년 2분기 출산율이 0.75를 기록했습니다. 출생아수는 처음으로 6만 명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부부당 1명도 채 낳지 않고 있는 현실로서 출산율은 앞으로 더 떨어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출산휴가 제도가 있지만 이마저도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엄마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사용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배우자인 아빠의 출산휴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생소해하며 사용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는 회사들이 많습니다.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내놓은 정책이므로 반드시 사용해야 할 배우자 출산휴가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란? 배우자 출산휴가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8조의2에 의하여 근로자의 배우자가 출산한 경.. 2022. 9. 14. 보육통합정보시스템 전면개편 및 접속방법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8월 8일 기준으로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을 개편하여 서비스를 개시합니다. 그간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엣지와 크롬 브라우저 등에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 운영체제에 따른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도 있으니 보육통합정보시스템 접속 전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이란??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은 CIS(Childcare Integrated Systems)로 불려지며 아이행복카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부모의 보육서비스 정보 접근성 및 어린이집과 행정 기관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으로 아래 4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모지원시스템(아이사랑보육포털) 부모의 편리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육서비스 정보 제공 -어린.. 2022. 8. 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