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2

2023년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우리나라에서는 식품 및 의약품 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자체 설정한 유효기간 내에서만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진국들은 생산자 중심보다 소비자 중심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민 보건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국내에서도 식약처 주관하에 2023년부터는 모든 식품에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을 표시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기존 표기 방식이었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통기한 vs 소비기한 식품을 유통·판매하는 영업자가 소비자에게 해당 식품을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최대의 기한.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하여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으로 최종 소비자.. 2022. 12. 27.
2023년 최저시급 & 세후 월급 실수령액 (feat. 최저임금 총정리) 2023년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내년 최저시급과 최저임금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2년 올해 최저시급은 9160원으로 월급으로 계산 시 1,914,440원입니다. 이는 지난해 대비 5% 인상된 금액으로 세후 월급 실수령액은 1,728,440원입니다. 그렇다면 2023년 최저시급과 최저임금, 세후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 개념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 사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헌법 제32조 제1항에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87.10월) 최저임금제도 목적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에 대하여.. 2022. 12. 26.
실내마스크 해제 기준 정리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에 대해 겨울철 유행이 안정화 추세로 접어들면 중대본의 협의와 논의를 거쳐 시행할 것임을 지난 12월 7일 브리핑 및 보도참고자료로 안내한 바 있으며, 이번 방안은 12월 9일 총리 주재 중대본 회의 시 마스크 의무 조정에 관한 방향성 논의를 시작으로 12월 15일 공개토론회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12월 19일 자문위원회 및 12월 22일 당정협의 등의 논의를 거쳐 마련되었습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 착용 권고 로 전환하되, 코로나19 유행 상황 및 시설별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조정해 나간다고 합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원칙 1. 코로나19 환자 발생 추세가 7차 유행 정점을 지나 안정화 시 2. 위중증 사망자 추세가 .. 2022. 12. 23.
2022 카타르 월드컵 일정 및 대진표, H조 분석 4년에 한 번씩 전 세계가 들썩이는 축제인 월드컵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단일 종목 스포츠 행사 중에서는 최대 규모의 대회로 FIFA 주관 하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카타르 월드컵의 조편성부터 경기 일정, 우리나라가 속한 H조 국가별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월드컵은 사상 최초로 겨울에 열리는 월드컵입니다. 과거의 월드컵은 축구의 주류인 유럽리그가 마무리되는 여름에 열렸으나, 평균 기온 40도에 육박하는 건조기후대인 개최지 특성으로 더위가 덜한 겨울에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열악한 환경과 무리한 일정 변경까지 감수하면서 카타르가 개최지로 선정된 것에 대해 중동 오일머니에 FIFA가 잠식당했다는 비판적인 여론이 많았습니다. 일정 : 2022.11.20 ~ 2.. 2022. 10. 31.
반응형